일반적으로 감기는 병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와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방에서도 기전은 비슷하다. ‘찬 기운’이 목이나 등의 인체 깊숙한 곳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체표에서 정기와 싸운다. 이때 나타나는 증상이 바로 오한, 발열, 인후통, 전신근육통 등이다. 환절기에 목이나 등이 오싹해지면 감기가 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찬 기운’은 ‘사기’라 하는데, 열을 동반한 ‘풍열사’한과 함께 하는 ‘풍한사’로 나뉜다. 또한 감기가 급하게 진행되는 ‘실증’인지, 감기가 왔는지도 모르게 서서히 진행하는 ‘허증’인지에 따라 그 진단과 처방이 달라진다.
한의학에서 감기는 오장육부 중 폐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호흡을 주관하는 폐는 피부도 관계한다. 피부 역시 호흡을 하기 때문이다. 호흡을 통해 ‘기의 흐름’도 관리하며, 체내 수분 배출과도 밀접히 관련 있어서 수액대사에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초기 증상이 제때 치료되지 않으면, 감기가 급속도로 진행하여 기침이 심해지면서 가래가 늘고 숨이 가빠진다. 감기가 영향을 주어 폐가 건조해지면서 후유증이 생기는 것이다.
이것이 계속 되면 폐렴, 기관지염, 천식 등으로 폐에 상당히 악영향을 미친다.
감기는 인체가 몸 안에 들어온 나쁜 기운을 인체가 이겨낼 힘이 부족할 때 생긴다. 정기가 튼튼하면 당연히 사기가 들어올 엄두도 못 낸다.
그러나 몸이 원래 약한 경우는 물론 평소 건강했어도 일순간의 “피로나 과로”, 신경을 많이 쓰거나”스트레스에 노출된 경우”, 체했을 때 등 몸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에는 나쁜 기운으로 인해 감기에 걸리게 된다.
전에도 민간요법에서 말했듯이 감기나 또는 심한 기침이 날 때에 종종 맛있는 흰색 배의 씨를 뺀 후에 그 안에 꿀을 넣은 후 끓여서 즙을 만들어 먹으면 빨리 낫게 되는 이유도 이러한 원리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것 역시 흰색은 폐에 좋은 식품이고 꿀은 노랑색이며 달기 때문에 위장에 좋아지고 위장 기능이 좋아지면 폐 기능도 당연히 좋아진다.
한의학에서도 감기처방 한방적인 감기 치료제는 $20~30정도로 저렴하기 때문에 증상이 생기면 가능한 빨리 내원하여 상담을 받는 게 좋다.
콧물, 재채기, 근육통 등을 동반한 콧물 감기는 목소리가 깊이 잠기면서 나른해지는데, 한약처방으로 해서 개인의 증상에 따라 약재를 가감해 처방한다.
정확한 맥진 침치료와, 자석침 그리고 개인증상에 따른 한약처방으로 한다면 몸에 정기가 튼튼해질것이다.
최한의원 원장 최성규 (210) 722- 2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