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추수감사절
미국 생활을 하다 보니 추석 보다는 추수감사절이 더 익숙해졌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 믿음의 사람으로써 더더욱 그렇습니다. 성경에 3대 절기가 나옵니다. (출 23:14-16)
“너는 매년 삼차 내게 절기를 지킬지니,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내가 네게 명한 대로 아빕월의 정한 때에 칠일 동안 무교병을 먹을지니 이는 그 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빈 손으로 내게 보이지 말지니라.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매년 삼차 절기를 지키라고 명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명에 따라 이스라엘 백성이 지켜야 할 삼대 절기는 이러했습니다.
첫째, 무교병의 절기입니다.
유월절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나온 것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이때 이스라엘 백성은 칠일 동안 무교병, 곧 누룩이 없는 떡을 먹었습니다. 그래서 유월절은 다른 말로 무교절, 또는 무교병의 절기라고도 불립니다. 구약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유월절을 지켰지만 신약시대 성도들은 부활절을 지킵니다. 유월절이 애굽에서의 해방을 기념하며 감사하는 절기였던 것처럼 부활절은 죄와 사망의 권세에서 해방 받은 것을 기념하며 감사하는 절기이기 때문입니다. 구원 받은 것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둘째, 맥추절입니다.
보리, 밀 추수가 끝나면 드리는 절기입니다. 이는 첫 열매를 거두며 지키는 절기입니다. 그래서 초실절이라고도 불립니다. 아울러 유월절로부터 오십일 되는 때에 지켜지기 때문에, 칠칠절이라고도 하고 오순절이라고도 부릅니다. 구약시대의 맥추절은 신약시대에 와서 맥추감사절로 지키고 있습니다. 물론 오늘날은 농경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농사를 짓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 해의 전반기를 하나님의 은혜로 보내게 된 것을 감사하면서 매년 7월 첫 주일을 맥추감사주일로 지킵니다.
셋째, 수장절입니다.
거둔 것을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포도농사, 무화과 농사, 올리브 농사가 끝나고 맥추절이 오기까지 먹는 양식을 저장하는 의미로 수장절이라고 합니다. 이때는 임시로 들에 초막을 짓고 기거했기 때문에 이를 초막절 또는 장막절이라고도 불렀습니다. 구약시대의 수장절은 신약시대에 와서 추수감사절로 지켜지고 있습니다. 매년 가을추수가 끝나는 시점에 즈음하는 11월 셋째 주를 추수감사주일로 지킵니다. 한 해 동안 하나님이 베풀어 주신 은혜와 축복을 잊지 않고 하나님에게 감사를 드리게 됩니다.
이와 같이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삼대 절기를 지키라고 명하셨습니다. 그러면서 하나님은 명하시기를 절기를 지킬 때 빈손으로 하나님에게 보이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잊지 말고 감사할 것을 명하셨던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든 절기 때에, 빈손으로 하나님에게 나아올 수가 없었습니다. 하나님이 그들에게 베풀어주신 은혜와 축복을 감사하면서 그들은 그 힘대로 예물을 준비해서 하나님에게 드려야 했습니다.
2. 범사에 감사하라
부서진 질그릇 같은 인생의 소유자인 화니 크로스비 여사는 맹인이었습니다. 그녀는 어려서 의사의 실수로 맹인이 됐지만 아무도 탓하지 않았습니다.그녀는 스스로 행운을 창조하는 사람이라고 믿고 감사와 기쁨에 가득찬 삶을 살았습니다. 화니 크로스비는 평생 9천 편의 찬송시를 썼습니다. 자신의 처지를 탓하지 않고 마음 속에서 우러나는 감사와 기쁨을 시로 옮긴 것입니다. 우리 찬송가에도 23곡이 실려 있습니다. 오 놀라운 구세주(446장), 나의 생명 되신 주(424장), 예수로 나의 구주 삼고(204장), 주의 음성을 내가 들으니(219장). 불러도 불러도 은혜가 되는 찬송들입니다. 감사에서 나온 찬송시들입니다.
감사의 삶이 축복의 근원이 됩니다. 축복을 받기 원하면 감사하며 살아가시기를 축복합니다. 감사가 생활화 되어야 합니다. 스위스의 철학자 칼 힐티(Carl Hilty)는『행복론』이라는 자신의 책에서 행복의 첫째 조건으로 ‘감사’를 꼽았습니다. 그는 “감사하라, 그러면 젊어진다. 감사하라, 그러면 발전이 있다. 감사하라, 그러면 기쁨이 있다.” 원망과 불평은 마귀의 근본 성격으로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40년 방황을 하다가 하나님의 은혜를 다 잊어버리고 심판을 받아 죽었습니다. 그러나 감사하는 여호수아와 갈렙은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큰 축복을 받았습니다. 감사하면 끝까지 잘 살지만 원망 불평하면 오래 못살고 불행하게 살다가 세상을 떠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고 영화롭게 하며 축복을 가져오는 능력이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범사에 늘 하나님께 감사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가진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없는 것만 생각하고 원망, 불평하고 살아갑니다. 이제 가지고 있는 것으로 어떤 일에도 감사하시기 바랍니다.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르느니라.”(롬 10:10)
실제로 미국 위스콘신 주의 한 병원에서는 치료가 불가능한 암환자에게 하루에 세 번 “난 깨끗하게 치료되었다. 난 다 나았다”고 말하는 언어 치료법을 권했습니다. 그런데 그 환자는 놀랍게도 3주가 지난 후에 실제로 완치되어서 병원에서 퇴원했습니다. 그만큼 힘이 있어요. 입술의 고백이 그만한 힘이 있는 것입니다. 이와 반대의 사례도 있습니다. 한 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자살한 청소년의 80에서 90%는 부모로부터 “너 같은 놈은 필요 없어. 나가 죽어” 그 말 결과로 자살했답니다. 어느 날 장미꽃이 하나님께 불평을 하였습니다. “왜 저에게 가시를 주셔서 제 인생을 어렵게 하느냐” 하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너에게 가시를 준 적이 없다. 가시나무인 너에게 장미꽃을 선사했을 뿐이다.” 하나님은 감사하는 사람을 원하십니다. 추수감사절은 감사하는 날입니다. 하나님은 성경 곳곳에서 말씀하십니다.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아멘
류복현 목사 (킬린한인침례교회 담임) 254-289-8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