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이는 자기 몸 안에 40~100개의 알을 낳고 그 알이 부화하면 새끼들은 제어미의 살을 파먹으며 성장한다고 합니다.
어미 우렁이는 한 점의 살도 남김없이 새끼들에게 다 주고 빈 껍데기만 흐르는 물길 따라 둥둥 떠 내려간다고 합니다.
그 모습을 본 새끼 우렁이들이 이렇게 말한다고 합니다.
“우리 엄마 두둥실 시집가네”
울컥 가슴이 메어 옵니다.
그와 반대로 가물치는 수 천 개의 알을 낳은 후 바로 눈이 멀게 되고, 그 후 어미 가물치는 먹이를 찾을 수 없어 배 고품을 참아야 하는데…
이때쯤 알에서 부화되어 나온 수천 마리의 새끼들이 어미 가물치가 굶어 죽지 않도록 한 마리씩 자진하여 어미 입으로 들어가 어미의 굶주린 배를 채워주며, 어미의 생명을 연장시켜 준다고 합니다.
그렇게 새끼들의 희생에 의존하다 어미 가물치가 눈을 다시 회복할 때 쯤이면 남은 새끼의 수는 10%도 생존치 못하고 대부분의 어린 새끼 90% 정도의 가물치는 기꺼이 어미를 위해 희생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물치를 “효자 물고기”라고 합니다.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는 우렁이와 같은 모성애를 받고 살아왔으면서도, 가물치와 같은 효심의 마음과 행동을 얼마 큼이라도 해 왔는지 뒤돌아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봅니다.
우렁이와 같은 자식에 대한 희생..
가물치와 같은 부모님께 대한 효도..
하나님의 큰 사랑과 은혜..
나를 구원하시고 살리시려 당신의 모든 것을
다 주시고 희생하신 참 사랑
갚아도 갚아도 평생 다 갚을 수 없는
그 사랑 그 은혜 앞에
지금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우리가 모여 찬양할 때 우렁이 같은 감사의 마음이 회복될 것입니다.
전국 찬양의 사역자 Lcc 모든 분께
하나님 은혜로 충만하시길 기도합니다.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롬 5:8)
인생의 해답되시는
그리스도 안에서..
서울 사랑의부부합창단 정진현 장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