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레오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 Anna Karenina> 라는 작품에 나오는 첫 문장이다. 안나 카레리나는 톨스토이 작품중에서 <전쟁과 평화> 다음으로 유명한 소설이다. 위의 말을 좀더 화화체로 풀면 “행복한 가족은 거의 다 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족은 다 제 나름으로 이유가 있다”
나는 러시아어를 모르니 영어 문장으로 소개하면 “All happy families are alike; each unhappy family is unhappy in its own way”
안나는 정부 고관인 카레닌의 아내인데 미모를 소유한 아름다운 도회적인 여인이었다. 어느날 오빠 부부의 다툼을 중재하기 위해 모스크바에 왔다가 역에서 만난 젊은 귀족 장교 브론스키와 사랑에 빠진다. 남편이 있는 여자였으니 불륜이라고 밖에 할 수 없는 사랑이다.
고위 관료나 귀족과는 거리가 먼 시골의 순박한 지주인 레빈은 안나 오빠의 처제인 키티에게 구혼하지만 브론스키를 좋아했던 키티는 레빈의 청혼을 거절한다. 실망한 레빈은 시골 영지에 돌아와 농지 경영에 전념하고 키티는 유부녀 안나와 사랑에 빠진 브론스키 때문에 병이 나고 만다.
안나는 남편과 어린 외아들이 기다리는 상테페테르부르크로 돌아가지만, 브론스키는 안나를 쫓아간다. 두 사람의 관계는 급속히 깊어지지만, 그것을 안 카레닌은 그 사실을 알고도 세간에 대한 체면 때문에 이혼에 응하지 않는다. 안나는 브론스키의 아이를 출산한 후, 사경을 헤매게 된다. 그 모습을 보면서 카레닌은 동정심과 관대한 태도로 안나를 용서한다. 그 관대함에 놀란 브론스키는 권총으로 자살을 시도하지만 미수에 그친다. 그 후 브론스키는 은퇴하고, 건강을 회복한 안나를 따라 외국으로 떠난다.
귀국한 안나는 브론스키와의 허락되지 않은 사랑 때문에 사교계에 들어가지 못하고, 브론스키의 영지에 머무르게 된다. 안나의 이혼은 카레닌의 반대와 외아들을 빼앗길 것이라는 안나의 우려 등으로 인해 좀처럼 진행되지 않는다. 자신의 처지에 불만인 안나와 시골에서 농장경영에 열중하면서 소일거리를 찾는 브론스키와는 점차 다투는 횟수가 늘어나고, 안나는 브론스키의 애정이 다른 여성으로 가버린 것은 아닐까하는 의심까지하게 된다. 마침내 절망한 안나는 열차에 몸을 던진다. 사는 목적을 잃은 브론스키는 사비를 투자해 의용군을 편성하고, 터키와의 전쟁터를 향해 간다.
레빈은 병이 치유된 키티와 결혼해, 영지의 농촌에서 신혼 생활을 시작한다. 레빈은 키티와 아이도 얻고 행복한 가정을 이끌면서, 사람은 자기 자신의 욕망을 위해 살때 행복하지 않고 타인이나 신을 위해서 살아야 한다는 생각에 이른다.
신기루 같은 사랑을 꿈꾸며 신실한 남편과도 등진 안나는 기차에 몸을 던지는 비극적인 생을 마감하지만 시골에서 평범한 가정을 이룬 레빈과 키티는 소소한 행복으로 가득한 삶을 살아간다.
가족은 뭐 대단한 것을 얻어야 행복한 것은 아니다. 결혼할 때의 그 사랑의 뜨거움이 언제까지 지속될 수도 없다. 평범하지만 서로 아끼어 주고 귀하게 여기고 때로 나같은 사람하고 살아줘서 고마워… 그런 마음으로 살아갈 때 거기에 가족의 행복이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면 인간은 레빈처럼 가족을 벗어나 남을 위해 그리고 하나님을 위해 나의 삶의 열매를 나눌때 거기에 행복이라는 무지개가 피어난다.
왜 잘사는 나라에서 행복지수가 낮을까? 그것은 인간이 욕망의 노예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현재 주어진 것을 감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내게 주어진 가족을 감사하며 주어진 일상을 즐기며 살아가면 거기에 남이 빼앗아 갈 수 없는 행복이 있다. 감사가 있는 행복한 가정은 대개 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족은 수천 가지의 불행한 이유들이 있다.
조의석 목사
우드랜드 빛사랑교회 담임목사, 수필가.
저서: 수필집 <블루보넷 향기>(2010), 시집 <거듭남>(1991)
832-212-3339
Ischo61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