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장학재단 2023 휴스턴 정기총회 성료

By 변성주 기자
kjhou2000@yahoo.com
미주 한인사회 대표적 장학재단인 한미장학재단 정기총회가 10년 만에 휴스턴에서 개최돼 장학사업을 위한 발전적 의견들이 개진되었다.
지난 21일(금)부터 23일(일)까지 한미장학재단 남서부지부(회장 이원호) 주최로 힐튼 가든인 휴스턴 에너지코리도에서 한미장학재단 전국이사회 및 정기총회가 열려 미주 전체 집행부와 전국 7개지부의 임원진들이 참석했다. 연례 정기총회는 7개의 지부를 돌아가면서 개최하고 있는데, 이는 각 지부를 부스팅 하는 기능도 해주고 있다.
이번 2023-2024 집행부는 신임 Jay Lee(이진원) 이사장이 바통을 이어받았고, 특별히 남서부지부의 이호석 전 회장은 재단 Secretary의 중책을 맡았다.
한미장학재단은 54년 동안 미전역에서 7천700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총 1천230만 불 이상의 장학금을 제공해왔다.
‘50 for 50’ 캠페인
21일(금) 오전 11시 호텔 라운지에서 신임 재단 회장단과의 기자회견이 있었다.
Jay Lee 이사장, Michelle Cho 사무총장, 그리고 남서부지부의 이원호 회장이 함께 자리했다. Jay Lee 이사장은 “한미장학재단은 조직과 정관 등이 잘 갖춰져 있다. 잘 정비된 파운데이션을 기반으로 재정적으로 더욱 튼튼하고 안정적인 장학재단이 되도록 많은 장학기금을 조성하는 것이 새 이사장으로서 가장 중요한 목표”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지난 2019년 재단 50주년에 맞춰 시작한 ‘50 for 50’ 캠페인에 박차를 가한다는 설명이다. ‘50 for 50’ 캠페인은 한미장학재단 본부가 이사회 멤버들을 포함한 50명의 회원들에게 자발적으로 5만불(또는 그 이상)의 기부를 생전 혹은 유언장을 통해 서약받는 캠페인이다. 최소 5만 불씩 50명의 기부자 모일 경우 한미장학재단은 최소 250만 불의 기부금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Jay Lee 이사장은 장학재단의 현재 기금을 510만 불에서 1천만 불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50 for 50’ 캠페인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미장학재단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 “많은 한인단체들은 회장 임기가 끝나면 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한미장학재단의 경우 연세가 80~90세가 되도록 재단 일에 손을 놓지 않고 오히려 재단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채찍질을 하는 원로들이 많다”고 했다.
Jay Lee 이사장은 2002년에 한미장학재단에 합류에 20년 넘게 봉사하고 있다.
미셀조 사무총장은 “재단 내에서도 어쩔 수 없이 세대 차이를 경험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세대들이 많이 합류하고 있어 재단의 미래는 밝다”고 말했다. 컴퓨터 활용 능력이 뛰어나고, 온라인 미팅을 선호하는 차세대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국적으로 약 20%로 파악했다. 결국 기금모금이나 도네이션에는 아직 1세대 역할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재단 운영의 활성화에는 차세대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리더 양성하려면 스폰서 필요
한미장학재단은 196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1989년부터 전국기구로 발족되었다.
지난 2012년 한미장학재단의 가장 막내 지부로 출범한 남서부지부는 지금까지 총 216명에게 38만 불의 장학금을 수여하는 등 약진하는 지부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해 제11회 장학금 수여식에서는 39명에게 총 7만2천 불을 지원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현재 한미장학재단은 각 지부별로 2023년 장학생을 모집하고 있다. 지원서는 오는 6월 30일까지 접수하고 있다. 남서부지부의 경우 지원 자격은 2023-2024 학기 텍사스를 비롯해 알칸사,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오클라호마 5개주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졸업반, 대학생, 대학원생 등이며, 장학금의 종류 또한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로스쿨이나 의대전문생, 참전용사 후손 등에 수여되고 있다.
남서부지부 이원호 회장은 “10년 만에 휴스턴에서 개최된 2023년 한미장학재단 정기총회가 지부 임원진과 회원들의 협력 속에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며, 차세대 리더들을 후원하는 장학사업에 많은 한인동포들과 기업, 단체들의 관심과 후원을 당부했다.
*신청사이트: www.kasf.org/apply-swrc
*장학금 및 후원 문의: swrc.scholarship@kasf.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