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보와 의궤, 음악의 절차, 악기의 모양, 치수 등 담겨”

By 정순광 지국장
skjung6511@hotmail.com
오늘은 1493년(성종 24년)에 당시 예조판서 성현, 장학원 제조 유자광이 맡아 만들어진 것으로, 음악 연주에 쓰이고 있는 악보와 의궤는 물론 악기 하나 하나의 모습까지 세밀하게 그림으로 그려 정리한 음악총서를 한번 알아보자.
악학궤범은 9권 3책. 인본(印本). 1493년(성종 24)에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제조 유자광(柳子光), 장악원주부 신말평(申末平), 전악 박곤(朴棍)·김복근(金福根) 등은 왕명을 받아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가 오래되어 헐었고 요행히 남은 것들도 모두 엉성하고 틀려서, 그것을 수교(讎校)하기 위하여 새로운 악규책(樂規冊)을 편찬하게 되었다. 내용을 보면 권1은 60조도(調圖)로 시작하는데, 궁(宮)에 의하여 60조의 중심음(中心音)을 빨리 알아볼 수 있게 만들었으나 이 60조는 우리 나라에서는 이론에 그쳤고, 그 중 12궁조만이 실제 사용되었다. 여덟 가지 재료로 만들어진 악기를 설명한 팔음도설(八音圖說), 연향에 쓰이는 당악(唐樂)의 28조를 악서에서 인용하여 5음 12율로 설명한 오음율려28조도설(五音律呂二十八調圖說), 정현(鄭玄)의 『주례 周禮』 주(註)와 악서를 인용하여 설명한 삼궁(三宮), 세종 때 쓰인 강신악조를 『주례』와 『송사 宋史』의 그것들과 비교, 설명한 삼대사강신악조(三大祀降神樂調), 한국음악의 악조(樂調)를 설명한 악조총의(樂調總義), 세조가 창안하여 기보(記譜)에 사용한 것을 다룬 오음배속호(五音配俗呼), 공척보(工尺譜)에 쓰이는 음명의 음 높이를 당적(唐笛) 같은 당악기 대신에 향악기인 대금(大笒)의 음으로 예시한 12율배속호(十二律配俗呼)를 설명하고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악학궤범(樂學軌範))]
그 중에 팔음도는 악기의 구성을 위해 동서남북과 남동, 남서, 북동, 북서로 팔음도를 만들었는데 팔음도는 악기를 만드는 8개의 재료를 기준으로 악기를 구분해놓고 8음이 팔괘와 방위, 절기 등에 비교되고 있어, 음악의 원리를 음양오행의 우주법칙으로부터 끌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목으로는 박이라는 악기를 죽은 대금과 태평소, 포는 생황, 혁으로 장고 교방교, 석에는 편경, 금은 나팔, 토는 나각, 사로는 아쟁과 가야금으로 구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