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정부발표 영어권 우선순위로
■더 이상의 ‘사후약방문’ 없어야…

By 변성주 기자
kjhou2000@yahoo.com
각종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이민사회는 이중, 삼중의 고통을 받는다.
가장 큰 이유는 가장 긴급할 때 알 권리와 긴급 대응에 있어 언어장벽에 부딪치기 때문이다.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커뮤니티는 코로나19에 대한 정보 전달의 제한성으로 오히려 소셜미디어에 더욱 의존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
현재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는 주요 COVID-19 웹 사이트에 대한 스페인어 및 중국어 번역본이 있지만 영어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자료에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그나마 한국어는 1~2개 정도만 일부 번역되어 있다.
하루가 다르게 백악관 혹은 주정부나 카운티가 비상사태 선포 및 주요 공공서비스에 대한 발표가 이어지지만 스페니시 번역 조차 곧바로 제공되지 않았다.
훌리안 카스트로 연방하원의원(D-TX)은 지난 주 “미 연방정부는 영어, 스페인어 또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기에 대해 동일하게 공중보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더 힐(The Hill)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영어 외에 미국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들로 중요한 생명을 구하는 지침을 번역, 배포하는 데 뒤쳐져있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16일(월) 백악관과 CDC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공중보건을 위한 중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지만 그나마 스페인어 버전의 지침은 화요일 오후 늦게야 제공되었다.
아태계 의장인 주디 추 연방하원의원(D-Calif)은 적어도 스페인어, 중국어, 한국어, 베트남어, 타갈로그어 등 탑 5개의 주요 언어로 된 정보를 CDC가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정보 부족으로 영향을 받는 이민사회는 매우 다양하게 미전역에 퍼져있다. 이민정책연구소(Migration Policy Institute)의 2015년 자료에 따르면 약 2천5백만 명의 미국인이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 같은 위기상황에서 대중과의 의사소통과 적극적인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지역사회가 안전하고 건강하며 정보를 잘 얻을 수 있도록 연방정부가 언어장벽을 과감히 제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에 반해 FEMA는 이미 정부의 행동과 지시를 다양한 외국어로 제공할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언어 측면에서 위기 직면에 대한 다른 연방정부 기구에도 적용될 가능성은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현재 FEMA는 총 19개 언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FEMA 역시 코로나 바이러스 국가 비상사태에 사용하기 위해 언어 계획을 조정하는 마지막 단계에 있다고 언급했다. 연방정부의 언어 사용에 대한 제한적 대응은 결국 주정부나 카운티, 시 같은 지방정부가 그 격차를 해소해야 하는 부담감으로 이어진다.
뉴욕시는 2017년에 도시 부서의 자료를 1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하도록 요구하는 법률을 통과시켰지만, 코로나19로 지금 현재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는 뉴욕은 영어 이외의 22개 언어로 자료를 번역하도록 대대적인 자원을 투입한 것으로 보도됐다.
다양한 민족들이 모여살고 있는 미국에 주요 공공 보도 및 정책발표가 최대한 여러 언어로 제공되어야 함은 특히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본보기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