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인간은 예측 가능하고 확실하며 일상의 리듬에 따라 생활하는 데 익숙하고 마음이 안정 됩니다. 범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갑자기 변화된 상황으로 마음이 불편하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염려와 내면에 불안감이 겹쳐 스트레스를 일으키게 됩니다.
감염에 대한 걱정, 연세드신 부모님에 대한 염려, 수입 감소, 자녀 보육에 대한 부담, 사회적인 격리로 인해 생기는 소외감, 그리고 음식물 준비나 필요한 물품 확인, 등으로 마음이 자칫 산만해 질 수가 있습니다.
갑자기 온 가족 성원이 함께 실내에서 장기간 생활하게 됨에 따라 예기치 않은 의견 대립과 충돌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족간에 과거에 마음이 상했던 일에 대해 충분히 대화를 나누지 않아 해결되지 않았던 문제가 있었다면, 지금 위기의 상황에서 다시 불거져 나오게 되어 가족간에 거북함과 언짢은 결과를 초래할 수 가 있습니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내면의 세계를 잘 다스려 내면의 기쁨과 평화로움을 지니고 생활할 수 있을지 전인적인 차원에서 하나 하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오래되고 반복되고 부정정적인 생각으로 부터 자유로와 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심호흡하기
인간은 여러 가지를 동시에 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마음이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로 인해 힘겨울 때, 편하게 자리에 앉아서 눈을 감고 천천히 코로 숨을 깊게 들이 마셨다가 입으로 천천히 내쉬면서 심호흡을 몇 번하면 불안감의 주 원인이 되는 스트레스를 주는 생각들이 멈춥니다.
2. 현재 이 순간을 인지하고 살아 있음을 인식하기
심호흡으로 인해 생각이 중지되면 현재의 이 순간에 살아 있음을 인식하고, 눈을 들어 주변에 무엇이 보이는 지 보고 하늘, 구름, 나무, 사람들, 강아지,.. 잠시 눈을 감고 어떤 소리가 들리는지 바람소리, 에어컨디셔너, 거실에서 들려오는 가족의 대화,…귀를 기울이며, 무슨 냄새가 나는 지 향기, 김치찌개 냄새,… 그리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우리 몸안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에너지를 느낄 수 있을 때 스트레스는 그 순간 멀어지게 됩니다.
3. 생각을 멈추고 그 생각에서 자유로와 지기
현대인은 자신과 생각을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아서 고통을 겪습니다. 영적인 스승인 에크하르트 톨레 (Eckhart Tolle)는 말하기를 사람들이 고통스러워하는 이유는 그들이 겪고 있는 상황 때문이 아니라 상황에 대한 그들의 생각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항상 결핍감 또는 부족감에 시달리고 고통스러워하며 그 현재에서 벗어나 먼 미래에 가 있거나 아니면 과거에 사로잡혀 살고 있다고 합니다.
힘든 상황을 맞이했을 때, 천천히 크게 심호흡을 몇 번 반복하여 생각을 멈춘 다음, 과장되어 부풀어진 이야기가 아닌 실제 사실에 근거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결하기위한 행동을 계획하면, 마음이 뚜렷하고 맑은 상태에서 인간의 두뇌는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가장 현명한 상태가 됩니다.
4. “나는 내 생각이 아니다.”
인간은 생각에서 자아정체성을 찾는 경우가 맞은데, 생각이 내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면 정신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러면 “나는 누구인가?” 의 질문에 대하여 “진정한, 더 넓고 깊은 나는 그 생각을 알아차리고 지켜보는 나, 나의 생각을 인식하고 바라보는 나” 로 기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희망을 줍니다.
심한 우울증이나 불안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이 원리를 이해하면 단숨에 빠른 회복의 길을 걷습니다.
하늘의 구름처럼 바다의 파도처럼 변화가 많고 다양하며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고 감정이라면 진정한 나를 발견하고 받아들이는 즐거움과 자신감으로 인해 제한된 생각이나 무거운 감정에 사로 잡혀 고통을 겪는 일로 부터 자유로울 수 가 있습니다.
5. 날마다 감사한 일 떠올리기
매일 아침 일어나기 전 혹은 매일 저녁 하루 일과를 끝내고 잠들기 전에 감사한 일 세 가지를 떠올리거나 노트에 적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한 마음을 가지면 우리 몸에 좋은 수천 여 가지의 화학 물질이 분비된다고 과학자들은 보고 합니다.
인류의 조상들이 수렵채취인으로 오랜 세월 살면서 생존을 위해 터득했던, 부정적인 경험, 사자로부터 쫒기던 기억, 힘들게 찾아냈던 사과나무의 기억,…을 통해 혹독한 환경에 대처했어야 했지만, 현대의 생활은 그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날마다 긍정적인, 좋은 일, 기분 좋은 일들을 기억하면서 스스로에게 가장 좋은 친구가 되어 항상 인정하고 격려하는 말들을 해주면 우리 신체는 훨씬 긍정적으로 반응을 합니다.
6. 어떻게 오래 반복되며 부정적인 생각을 멈출 수 있을까?
또 다른 영적 지도자인 바이런 케이티 (Byron Katie)는 불안감이나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생각이 들 때마다 그 생각을 그대로 믿지 말고 의문을 가지고 조사를 하라고 가르칩니다. 그리고 상황은 같지만 그 생각을 잔뜩 짊어지고 힘들어하는 나와 그 생각이 없는 자유롭고 행복한 나를 비교하도록 인도합니다. 똑같은 상황이라도 그 두럽고 무겁기만한 생각에서 자유로와짐에 따라 얼마나 우리의 삶이 유쾌해지고 즐거워지는지 체험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생각이 일어 날 때 그 생각이 사실인지 아닌지 그 생각에 질문을 던지면 사실이 아닌 것을 깨닫게 되고 오히려 그 생각과 반대되는 상황이 더 옳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어 스트레스로 부터 자유로운 건강한 정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명신 힐슨, LPC (Licensed Professional Counselor)
Tel: 281-480-7554
Cell: 832-930-2381
Carol and Ronald Krist Samaritan Counseling Center
16441 Space Center Blvd, Suite C-100
Houston, TX 770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