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국회에서 열린 ‘제5회 재외동포 정책 포럼’에는 재외동포청 설립 방안과 새 정부의 관련 정책 수립 등을 두고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왔다.
‘재외동포청 설립의 필요성’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시사평론가 이종훈 박사는 “역대 대통령 후보들이 재외동포청 설립을 공약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던 이유는 인수위원회 논의 단계에서 해당 사안이 배제됐기 때문”이라며 “인수위원의 부족한 관심과 외교부의 반대가 맞물린 결과”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대선에서 재외동포청 설립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관심과 의지도 큰 만큼 기대감이 크다”고 덧붙였다.
이 박사는 “외교부는 국가 간 마찰을 우려로 재외동포청 설립을 반대해 왔다”며 외국국적동포를 포함하지 않는 ‘재외국민지원청’을 대안으로 주장하기도 했다.
기조 발표에 나선 최영호 전 재외한인학회장은 “지난 대선에서 750만 재외동포 가운데 실제 투표자는 전체의 1.8% 수준인 14만7천여 명에 그쳤다”며 ‘우편 투표제’ 도입을 주장했다.
임영언 재외한인학회장은 “재외동포 기업과 한국과의 교류를 다지고, 우리 청년들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세계한상대회’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상우 인하대 사회교육과 교수는 “한국전쟁 이후 70여 년간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아동을 국제입양을 보낸 국가였다”며 입양인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전담기구 필요성을 피력했다.
<연합뉴스 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