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주택 수용책으로 전염병 확산 저지 나선다

By 변성주 기자
kjhou2000@yahoo.com
코로나19 관련 경제 침체로 휴스턴 지역 노숙자 문제가 큰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공식 데이터 상으로는 휴스턴 지역 노숙자 숫자는 지난해와 거의 비슷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데이터가 반영된 내년 자료에는 상당한 증가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휴스턴 노숙자연합회가 6월 23일 발표한 바에 의하면 해리스카운티에 3천567명의 노숙자가 있고, 그중 1천500여명은 대피소가 아닌 거리에서 살고 있다.
노숙자들의 20%는 처음 노숙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들 노숙자들 중 흑인들이 56%를 차지하고 있는데, 해리스카운티 전체 인구분포에서 흑인 비율이 19%에 불과해 불균형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인권문제 옹호자들은 코로나19로 노숙자가 더 많이 쏟아져 나올 것을 우려하고 있다. 몇 개월 집세를 내지 못할 경우 노숙자로 전락할 수 있다.
노숙자 문제는 비즈니스 상가몰에서도 큰 골칫거리다. 노숙자들이 주유소 뒤, 사무실 건물 밖에서, 도시 공원 등에서 잠을 자고 쓰레기 투하는 물론 용변까지 보는 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들은 불법 침입 혐의로 기소되기도 하지만, 노숙자 침입으로 경찰에 신고해도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한 경찰 공권력이 쉽게 닿지 않는다.
노숙자 문제를 해결하는데 체포나 교도소 사용으로 오는 문제도 크기 때문에 왠만해서는 노숙자를 처벌하지 않으려는 분위기다. 대신 갈 곳 없는 사람들을 위한 임시거처나 비상주택, 임대주택 등의 건설을 해결책으로 삼고 있다.
공권력 집행이 적극적이지 못한 노숙자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쇼핑센터 안에 ‘불법침입 금지(No Trespass)’ 같은 표시판을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하고 상가의 청결한 환경과 안전 및 공중위생을 위해 경찰의 순찰 강화를 요구하는 것이 그나마 최선이다.
한편 터너 시장과 해리스카운티 리나 히달고 판사는 7월 1일(수)에 코로나19 위기 동안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노숙자 퇴치를 위한 영구주택 보급을 위한 5천6백만 달러 규모의 발의안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