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21년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유색인종 커뮤니티 사기 실태 보고서(Serving Communities of Color)를 발표했다. 골자는 대다수 이민자들과 유색인종들은 언어장벽, 법에 대한 지식 부족, 공권력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미국 현지인들보다 사기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이 현실로 나타났다.
FTC는 최근 2022년 가장 많았던 사기실태(the top five scams of 2022)를 발표했다. 마리아 마요(Maria Mayo) FTC 소비자대응 과장에 따르면 지난해 FTC에 신고된 사기 건수는 240만 건으로, 2021년의 290만 건에 비해 줄었다. 그러나 사기 피해액은 전년대비 88억 달러가 늘었다.
지난해 가장 유행한 사기는 위장사기(Imposter fraud)이다. 사기꾼들이 정부기관이나 은행, 대형 비즈니스로 위장해 돈을 뜯어내는 방식으로, 피해액은 2021년 4억5천만 달러에서 지난해 6억6천만 달러로 늘었다. 이어 투자사기(investment scams)가 3억8천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투자사기의 대다수는 이른바 암호화폐(cryptocurrency scams) 사기이며, 1건당 평균 피해액은 5천 달러였다.
로맨스 사기(romance scams) 피해도 갈수록 늘고 있다. 여성이나 남성의 이름을 도용해 사귀자거나 결혼하자면서 거액을 송금할 것을 요구하는 사기다. 예를 들어 플로리다에 거주하는 피치즈 스테그로 (Peaches Stergo)라는 여성은 87세 홀로코스트 생존자에게 통장 금액 전액을 사기쳤다가 지난 1월 25일에 체포됐다.
이같은 사기는 인터넷 등 소셜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라고 마요 과장은 해설한다. 가짜 정부기관, 가짜 은행 웹사이트, 또는 엉터리 암호화폐 홈페이지나 앱, 또는 가짜 남성과 여성의 계정을 만들어놓고 돈을 낼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
사기꾼들은 특히 이민사회를 노린다고 로사리오 멘데즈(Rosario Mendez) FTC 소속 변호사는 지적했다. 예를 들어 라티노 커뮤니티의 경우 타인종에 비해 은행, 대출, 채권추심, 투자사기 등의 신고비율이 높았다. 또한 재택근무로 돈을 벌수 있다며 수수료를 받아 챙기는 사례도 있었다. 또한 흑인 커뮤니티에서는 학자금 대출 탕감 사기, 대출사기가 많았다.
FTC는 현재 한국어를 비롯해 11개국 언어로 사기방지 요령을 안내하고 있다고 크리스티나 미란다(Cristina Miranda) FTC 소비자보호담당관은 소개했다. 미국에 처음 도착했거나, 미국문화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사기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FTC의 한국어 사기방지 및 신고 요령은 https://consumer.ftc.gov/features/consumer-education-multiple-languages-korean 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FTC는 인터넷(reportfraud.ftc.gov)으로 사기 신고를 받고 있다. 이밖에 FTC는 사기 방지 및 신고요령 핸드북(Spotting, Avoiding and Reporting Scams: a Fraud Handbook)을 만들어 이민사회에 무료 배포하고 있다. <기사자료: EMS>
